잡(job)기술44 pickle 모듈을 이용한 캐싱 관리 기법 1. 서론: 캐싱의 필요성과 파이썬에서의 선택지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계산하거나 외부에서 받아오는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예를 들어, 복잡한 수학 계산, API 호출, 대용량 파일 읽기 등의 작업이 그럴 수 있다. 이런 작업을 매번 새로 하지 않고 결과를 저장해두었다가 재사용하면 실행 속도가 빨라지고 효율이 올라간다. 이를 "캐싱"이라고 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캐싱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하는 functools.lru_cache, 파일 기반으로 저장하는 pickle, 혹은 Redis와 같은 외부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글에서는 가장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식인 pickle 모듈을 활용하여 캐싱을 구현하는 방법을 다룬다.2. pickle 모듈 개요 pickle은 파이.. 2025. 6. 18. TypeORM 마이그레이션 사용하기: 안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단계별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을 관리하는 것은 까다로울 수 있다. 특히 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 간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할 때 더욱 그렇다. TypeORM의 마이그레이션 기능은 통해 이러한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적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TypeORM 마이그레이션 사용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각 단계가 왜 중요한지, 흔히 발생하는 함정을 피하기 위한 사례를 정리하고자 한다.왜 마이그레이션을 사용해야 할까?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절차를 정리하기 전에, 마이그레이션이 왜 중요한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데이터베이스 버전 관리: 마이그레이션은 코드 버전 관리처럼 스키마 변경을 시간 순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환경 간 일관성: 개발, 스테이징,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가 동기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 2025. 5. 30. gst-rtsp-server 시그널 이해하기: media-configure와 media-constructed GStreamer의 gst-rtsp-serv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RTSP 서버를 개발할 때,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미디어 스트림이 동적으로 생성되고 파이프라인이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GstRTSPMedia 객체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될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관리하며, 파이프라인의 특정 부분이 동적으로 생성될 때 media-configure 및 media-constructed 시그널을 발생시킨다.이 시그널들은 특히 GstRTSPMediaFactory를 사용하여 파이프라인을 생성할 때 유용하며, 사용자가 동적으로 생성되는 파이프라인 부분에 개입하여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연결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1. media-configure 시그널 (GstRTSPMedia)발생 시점:클라이언트로부.. 2025. 5. 16. PM2에서 ecosystem.config.js를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 PM2는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프로세스 매니저이다. PM2는 실행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ecosystem 파일 방식을 제공한다. 이 구성 파일은 두 가지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JSON 형식 (ecosystem.json)JS 모듈 형식 (ecosystem.config.js)이 문서에서는 ecosystem.config.js 파일을 사용하는 이유, 장점, 그리고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1. ecosystem.config.js vs ecosystem.jsonJSON 파일 사용 시 특징구조가 단순하여 자동 생성하기 쉬움정적(static) 설정만 가능주석을 작성할 수 없음환경 변수 하드코딩 필요JS 모듈 사용 시 특징Node.js 문법을 사용할 수 .. 2025. 5. 15. 이전 1 2 3 4 5 ··· 11 다음